백엔드/스프링
SpringMVC의 기본이 되는 애노테이션(@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Spring MVC의 처리 과정을 더 자세히 알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 싶어 작성했습니다. 실제로는 몇 가지 단계를 더 거쳐야 합니다. 클라이언트(사용자)는 List라는 페이지(요청하는 View)를 요청한다. Dispatcher Servlet은 해당하는 @Controller를 찾아본다. 해당하는 @Controller를 찾으면 View로부터 받아온 데이터를 Model 객체에 추가한다. Model에 담은 데이터가 DB의 필요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Model에 담은 데이터가 DB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요청한 View를 찾아서 보여주며 끝이 난다. DB를 필요로 한다면 다음 과정을 거친다. 해당 데이터를 들고 @Service로 가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다. DB 접근이 필요하면 @Repository에 요청한..
2021. 9. 4. 09:09
최근댓글